1. 네트워크 계층의 개념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을 위해 라우터를 통한 라우팅을 하고 패킷을 전송하는 담당을한다.
2. 라우터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 주는 장치이고 현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라우터는 데이터가 목적지로 갈 때 가장 좋을 경로를 알려주는 역할도 한다.
하지만 데이터를 받는 상대의 위치를 모르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알려주지 않는다.
3. IP의 개념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데 필요한 규칙과 절차를 정하는 프로토콜이다.
데이터가 어떻게 전송되는지를 결정을 하는 역할도 한다.
IPv4(32비트)와 IPv6(128비트)의 두가지 버전이 있으며 각각 데이터 전송 방식과 주소 체계가 다르다.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캡슐화할 때 다음과 같은 순서로 IP헤더를 붙인다.
버전 ➔ 헤더길이 ➔ 서비스 유형 ➔ 전체 패킷 길이 ➔ ID ➔ 조각 상태 ➔ 조각의 위치 ➔ TTL ➔ 프로토콜 ➔ 헤더 체크섬 ➔ 출발IP 주소 ➔ 목적지 IP 주소
이렇게 만들어진 것을 IP 패킷이라고 한다.
여기서 출발IP 주소와 목적지 IP 주소만 알면된다.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프레임 같은 것이다.
4. 서브넷 마스크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식별하기 위한 값이다.
IP 주소의 네트워크 부분만 나타나게 하여 같은 네트워크인지 구분하게 하는 마스크다.
네트워크 부분 :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일때 처음 24비트(255.255.255)는 네트워크 부분을 나타낸다.
4 - 1 서브넷팅의 장점
1. 효율적인 IP 주소 사용 : IP 주소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 할 수 있다.
여러 개의 서브넷으로 나누면 각 서브넷에 필요한 IP 주소 수에 맞게 주소를 할당 할 수 있다.
2. 보안 : 네트워크를 분리하여 보안을 강화한다. 서로 다른 서브넷 사이의 통신을 제한해 보안에 좋다.
3. 성능 :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산시켜서 성능을 향상시킨다. 독립적이라 네트워크 혼잡도도 적다.
5. 동적 IP 주소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에 자동으로 할당되는 임시 IP 주소다.
네트워크 연결이 될 때마다 변경이 될 수 있고 DHCP를 통해 관리된다.
5 - 1 특징과 장점
임시할당, IP주소 자동 관리, 주소 재사용
이 세가지의 특징에 의한 장점이 있다.
첫 번째, DHCP 서버를 통해 자동으로 관리가 되어 관리를 할 필요가 없어 대규모 네트워크에 유용하다.
두 번째, 네트워크가 연결이 될 때마다 변경될 수 있어서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좋다.
세 번째, IP 주소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해서 네트워크 운영 비용이 절감된다.
5 - 2 단점
첫 번째, 고정된 주소가 필요한 장치가 있을 경우 불편하다.
두 번째, IP 주소가 자주 변경되어 장치나 사용자를 추적하기가 어렵다.
출처
https://nordvpn.com/ko/blog/what-is-subnet-mask/
서브넷 마스크란 무엇인가요?
이 글에서 서브넷 마스크의 정의 및 확인 방법, IP 주소를 숨겨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정확히 알아보세요.
nordvpn.com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
OSI 모델의 3 번째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 대해 알아보자
velog.io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40909 (API와 REST API) (0) | 2024.09.09 |
---|---|
TIL 240906 (OSI 전송 계층) (0) | 2024.09.06 |
TIL 240903 (Node.js) (0) | 2024.09.03 |
TIL 240831 (SQL 기초다지기2) (0) | 2024.08.31 |
TIL 240830 (SQL 기초 다지기) (0) | 2024.08.30 |